반응형
2025년 6월 3일, 대한민국은 헌정 사상 초유의 조기대선을 치르게 됩니다.
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파면으로 인해 대선이 앞당겨졌고, 정치권은 벌써부터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, 이번 조기대선에는 누가 출마하고, 누가 가장 유력한 후보일까요?
출마 확정 및 거론되는 주요 후보들
1. 이재명 (더불어민주당)
- 현 지지율 선두 (약 34%)
- 탄탄한 민주당 지지층 기반
- ‘실용적 민생 대통령’ 이미지 강조
- 법적 리스크 존재 (대장동·백현동 등 재판 진행 중)
2. 한동훈 (국민의힘 전 대표)
- 윤석열 탄핵 직후 당 대표직 사퇴 후 출마 선언
- '검찰개혁의 아이콘'이 아닌 '중도 통합형 리더' 이미지 강조
- 2030 남성층과 강성 보수층에 강한 지지
- 정치 경력 부족에 대한 우려
3. 오세훈 (서울시장)
- 보수 실용주의자 이미지
- ‘서울에서 검증된 행정력’ 강조
- 핵무장론과 경제 성장 공약 제시
- 중도확장성은 있지만 당내 결집력은 낮음
4. 안철수 (국민의힘 의원)
- ‘합리적 보수’, ‘정치개혁’ 강조
- 보수-중도 간 가교 역할을 자처
- 리더십과 결단력 부족 이미지가 약점
5. 김동연 (경기도지사)
- 경제전문가 이미지로 중도층 타겟
- ‘경제로 말하는 후보’ 메시지 활용
- 민주당 내 존재감이 약하고, 이재명과의 표 분산 우려
6. 김부겸 (전 국무총리)
- 안정적인 행정 경험과 원만한 이미지
- 고령층과 중도 보수층에 어필 가능
- 인지도와 지지 기반은 약한 편
7. 김경수 (전 경남지사)
- 노무현·문재인 정서 계승자
- 사면 복권 이후 정치 재도전 시사
- 아직 본격 출마 선언은 아님
8. 홍준표 (대구시장)
- 대표적인 보수 정치인
- 강한 메시지와 추진력 강조
- 세대 교체 요구와 ‘막말’ 이미지가 걸림돌
9. 김문수 (전 경기도지사)
- ‘우파 가치 복원’을 내세우는 강경 보수
- 기독교계와 강성 보수 지지층 기반
- 중도 확장성 부족
현재 구도에서의 당선 예측
유력 후보 | 이재명 (지지율 선두, 여당 분열로 반사이익) |
변수 1 | 보수 진영의 단일화 여부 |
변수 2 | 이재명의 법적 리스크와 재판 결과 |
변수 3 | 젊은층 & 중도층의 투표율 |
현재 기준 예측 (2025년 4월 중순 기준)
- 이재명 당선 가능성: 60~65%
- 보수 단일화 시: 접전 (한동훈 단일화 시 역전 가능성 있음)
향후 일정
- 공식 후보 등록: 5월 10일~11일
- 공식 선거운동 기간: 5월 12일~6월 2일
- 사전투표: 5월 29일~30일
- 대선일: 6월 3일 (화요일)
이번 조기 대선은 보수 진영의 분열과 야권의 결집, 그리고 각 후보들의 법적 리스크와 정책 비전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. 특히 중도층과 젊은 유권자의 선택이 승패를 가를 핵심 요소가 될 전망입니다.
대통령을 뽑는 건 결국 ‘우리’입니다
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서,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입니다. 정당, 후보, 공약을 꼼꼼히 살피고, 꼭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시길 바랍니다!
반응형
'정치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재명 유죄? 대선 나올 수 있을까? 재판 총정리 (1) | 2025.04.11 |
---|---|
탄핵심판 기각 이유 (1) | 2025.03.13 |
조기 대통령 선거일과 예상 후보 분석 (0) | 2025.03.13 |
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 정리 (0) | 2025.03.13 |
각하(却下)란 무엇인가? (0) | 2025.01.07 |